라이벌의 큐브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라이벌의 큐브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75)
    • 큐브 해법 (42)
      • 2x2x2 큐브 해법 (13)
      • 3x3x3 큐브 초급 해법 (10)
      • 3x3x3 큐브 고급 해법 (15)
      • 4x4x4 큐브 해법 (4)
    • 큐브 팁 (12)
      • 초보 팁 (2)
      • 스피드솔빙 팅 (2)
      • 번역(Cubeskills) (8)
    • 큐브이야기 (21)
      • 각종 큐브 이야기 (12)
      • 큐브 리뷰 (9)
      • WCA 정보 (0)
      • 국내 신상품 입고 정보 (0)

검색 레이어

라이벌의 큐브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큐브 맞추는 데 도움 되는 글 모음

    2025.05.16 by 라이벌

  • 해법 소개-Tripod 해법이란?

    2023.01.03 by 라이벌

  • 해법 소개-Mehta 해법이란?

    2023.01.03 by 라이벌

  • 해법 소개-Heise 해법이란?

    2023.01.03 by 라이벌

  • 해법 소개-ZB 해법이란?

    2023.01.02 by 라이벌

  • 해법 소개-ZZ 해법이란?

    2023.01.02 by 라이벌

  • 해법 소개-Petrus 해법이란?

    2023.01.02 by 라이벌

  • 해법 소개-Schultz 해법이란?

    2023.01.02 by 라이벌

큐브 맞추는 데 도움 되는 글 모음

큐브 맞추는 데 도움 되는 글 모음 3x3x3 큐브 기초 해법3x3x3 큐브 기호3x3x3 큐브 초급 해법 순서3x3x3 큐브 초급 해법 1단계 - 십자가 맞추기3x3x3 큐브 초급 해법 2단계 - 십자가 옆면 맞추기3x3x3 큐브 초급 해법 3단계 - 1층 맞추기3x3x3 큐브 초급 해법 4단계 - 2층 맞추기3x3x3 큐브 초급 해법 5단계 - 윗면 십자가 맞추기3x3x3 큐브 초급 해법 6단계 - 윗면 맞추기3x3x3 큐브 초급 해법 7단계 - 윗면 코너 맞추기3x3x3 큐브 초급 해법 8단계 - 윗면 엣지 맞추기3x3x3 큐브 초급 해법 영상 ver 1.0.0공식 3개로 큐브 맞추는 방법(2025 ver) 공식 3개로 큐브 맞추는 방법3x3x3 큐브 초보편 심화-1층 맞추기3x3x3 큐브 초보편 ..

큐브이야기/각종 큐브 이야기 2025. 5. 16. 19:10

해법 소개-Tripod 해법이란?

Tripod 해법은 Ryan Heise가 제안하고 Michael Gottlieb과 Mirek Goljan이 발전시킨 블럭빌딩 기반 해법입니다. ​ Tripod 해법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x2x2 블록을 만듭니다. 2. 1x2x2 블록 3개를 2x2x2 블록에 붙입니다. 3. 맞춰놓은 조각을 흐트러트리지 않고 F2L을 완료합니다. 4. 마지막 층을 맞춥니다. 58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 CFOP 해법과 비교한 Tripod 해법의 장점은 1. 회전수가 적습니다. 평균 회전수가 50회전 미만으로 상당한 수준의 회전수 차이가 납니다. ​ 2. 공식 수가 적습니다. 공식 수는 58개로 해법의 전체 공식 수가 OLL 한 단계의 공식 수보다 단 1개가 많습니다. ​ 단점은 1. 대부분이 블럭빌딩으..

큐브이야기/각종 큐브 이야기 2023. 1. 3. 11:01

해법 소개-Mehta 해법이란?

Mehta 해법은 2020년에 Yash Mehta 에 의해 만들어진 해법입니다. 회전수는 평균 45-50회전으로 알려져 있어 Roux해법과 비슷하며 CFOP보다 훨씬 적습니다. ​ Mehta 해법의 시작은 이렇습니다. ​ 1. FB 1x2x3 블록을 맞춥니다. Roux 해법의 FB와 비슷하지만 만들어진 블록은 DL자리에 누워있어야 합니다. ​ 2. 3QB E층의 3개의 엣지를 맞춥니다. ​ 3. EOLE E층의 남은 엣지 한개를 맞춰주면서 나머지 엣지의 오리엔테이션을 맞춥니다. 55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 이 이후로는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메이저한 것은 다음 4개입니다. ​ Mehta-6CP 4. 6CO FB에서 맞춰준 2개의 코너조각을 제외한 나머지 코너들의 오리엔테이션을 모두 맞춥..

큐브이야기/각종 큐브 이야기 2023. 1. 3. 11:00

해법 소개-Heise 해법이란?

Heise 해법은 2003년에 Ryan Heise가 개발한 블럭빌딩 기반 해법입니다. 정확한 발음은 하이스 정도가 되겠지만 국내에서는 보통 헤이즈 해법으로 불립니다. ​ Heise 해법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F2L-1 1x2x2 블록 4개를 만듭니다. 이때 1x2x2 블록은 센터 1개, 엣지 2개, 코너 1개로 이루어진 블록 3개와 센터 2개, 엣지 1개로 이루어진 블록 1개입니다. ​ 2. EOF2L-1 1x2x2 블록들을 맞추면서 엣지 오리엔테이션을 완료합니다. ​ 3. AB3C 남아있는 엣지를 맞추면서 2개의 코너를 맞춥니다. 다르게 말하면 3개의 코너를 제외한 나머지 조각을 모두 맞춥니다. ​ 4. L3C 나머지 코너 3개를 맞춥니다. ​ CFOP 해법과 비교한 Heise 해법의 장점..

큐브이야기/각종 큐브 이야기 2023. 1. 3. 10:58

해법 소개-ZB 해법이란?

ZB 해법은 2002년에 Zbigniew Zborowski와 Ron van Bruchem가 개발한 LBL 기반 해법입니다. ​ ZB 해법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Cross Cross를 합니다. CFOP의 그것과 같습니다. ​ 2. F2L-1 F2L을 하나의 슬롯을 남겨두고 다 맞춥니다. ​ 2-1. ZBLS(ZBF2L) 마지막 F2L슬롯을 맞추면서 윗면 십자를 맞춥니다. 306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제작자는 ZBF2L을 F2L의 일부로 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해법은 4단계가 아닌 3단계로 나뉩니다. ​ 3. ZBLL 큐브를 모두 맞춥니다. 493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 CFOP 해법과 비교한 ZB해법의 장점은 ​ 1. 회전수가 적습니다. 평균 45회전 정도로 CFOP와 비교하면 ..

큐브이야기/각종 큐브 이야기 2023. 1. 2. 10:27

해법 소개-ZZ 해법이란?

ZZ 해법은 2006년에 Zbigniew Zborowski가 제안한 부분해법입니다. ​ ZZ 해법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EOLine 모든 엣지의 오리엔테이션을 함과 동시에 DF, DB엣지를 맞춥니다. ​ 2. F2L 엣지 오리엔테이션을 유지한 채로 F2L까지 맞춥니다. ​ 3. LL 마지막 층을 본인이 아는 해법을 이용해 맞춥니다. ​ CFOP 해법과 비교한 ZZ 해법의 장점은 1. 회전수가 적습니다. 평균 회전수가 55회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LL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회전수가 적어질 여지도 매우 많습니다. ​ 2. 시점변환이 없습니다. 엣지 오리엔테이션이 모두 되어있기 때문에 F, B회전을 할 필요가 없으며 앞면만 보고 뒷면 예측도 가능합니다. ​ 3. LL을 해결하는 방법을 선택할..

큐브이야기/각종 큐브 이야기 2023. 1. 2. 10:25

해법 소개-Petrus 해법이란?

Petrus 해법은 Lars 해법이라고도 불리며 1981년 Lars Petrus가 만든 블럭빌딩 기반 부분해법입니다. 국내에서는 보통 페트러스로 부릅니다. ​ Petrus 해법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2x2x2 블록을 만듭니다. ​ 2. 2x2x2 블록을 2x2x3 블록으로 확장합니다. ​ 3. 나머지 엣지의 오리엔테이션을 맞춥니다. ​ 4. 엣지의 오리엔테이션을 유지한 채로 F2L을 완료합니다. ​ 5. 나머지 부분을 본인이 아는 해법을 이용하여 맞춥니다. ​ CFOP 해법과 비교한 Petrus 해법의 장점은 ​ 1. 회전수가 적습니다. ZBLL을 이용할 경우 회전수는 45회전 미만이라고 합니다. ​ 2. 외워야 할 공식 수가 적습니다. 꼭 외워야 할 공식은 엣지 오리엔테이션용 공식 몇개 ..

큐브이야기/각종 큐브 이야기 2023. 1. 2. 10:24

해법 소개-Schultz 해법이란?

Schultz 해법은 1981년에 네덜란드의 Guus Razoux Schultz가 개발한 LBL 기반 해법입니다. 해법의 순서를 따서 CFCE 라고도 하며 한국어로는 슐츠 혹은 슐쯔 정도로 표기하는데 슐츠를 더 많이 쓰는 것 같더라고요. 외래어 표기법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 Schultz 해법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Cross Cross를 합니다. CFOP 해법의 그것과 같습니다. ​ 2. F2L F2L을 합니다. CFOP 해법의 그것과 같습니다. ​ 3. CLL 코너 조각을 모두 맞춥니다. 42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 4. ELL 엣지 조각을 모두 맞춥니다. 29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는 없다시피하지만 루 해법의 L6E에 완전히 포함되는 부분입니다. ​ CFOP 해법과..

큐브이야기/각종 큐브 이야기 2023. 1. 2. 10:2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0
다음
TISTORY
라이벌의 큐브이야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