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hta 해법은 2020년에 Yash Mehta 에 의해 만들어진 해법입니다. 회전수는 평균 45-50회전으로 알려져 있어 Roux해법과 비슷하며 CFOP보다 훨씬 적습니다.
Mehta 해법의 시작은 이렇습니다.
1. FB
1x2x3 블록을 맞춥니다. Roux 해법의 FB와 비슷하지만 만들어진 블록은 DL자리에 누워있어야 합니다.
2. 3QB
E층의 3개의 엣지를 맞춥니다.
3. EOLE
E층의 남은 엣지 한개를 맞춰주면서 나머지 엣지의 오리엔테이션을 맞춥니다. 55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이 이후로는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메이저한 것은 다음 4개입니다.
Mehta-6CP
4. 6CO
FB에서 맞춰준 2개의 코너조각을 제외한 나머지 코너들의 오리엔테이션을 모두 맞춥니다. 71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5. 6CP
FB에서 맞춰준 2개의 코너조각을 제외한 나머지 6개의 코너들의 퍼뮤테이션을 맞춰줍니다. 47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6. L5EP
남은 5개의 엣지들의 퍼뮤테이션을 맞춥니다. 모두 16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공식의 총합은 134개입니다.
Mehta-APDR
4. 6CO
FB에서 맞춰준 2개의 코너조각을 제외한 나머지 코너들의 오리엔테이션을 모두 맞춥니다. 71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5. APDR
D층의 안맞춰진 DR 블럭을 맞춰줍니다. 38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6. PLL
윗면의 퍼뮤테이션을 맞춥니다. CFOP 해법의 PLL과 동일합니다.
공식의 총합은 130개입니다.
Mehta-CDRLL
4. DCAL
D층의 남은 2개의 코너를 맞춥니다. 80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5. CDRLL
윗층 코너를 모두 맞츱니다. DR엣지조각이 맞춰져 있지 않으므로 CDRLL로 불립니다. 42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6. L5EP
남은 5개의 엣지들의 퍼뮤테이션을 맞춥니다. 모두 16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공식의 총합은 138개입니다.
Mehta-JTLE
4. DCAL
D층의 남은 2개의 코너를 맞춥니다. 80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5. JTLE
DR엣지를 맞추면서 윗면의 오리엔테이션을 맞춥니다. 34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6. PLL
윗면의 퍼뮤테이션을 맞춥니다. CFOP 해법의 PLL과 동일합니다.
공식의 총합은 135개입니다.
이 4가지 해법의 확장판 개념의 해법이 2개가 있습니다.
Mehta-TDR
4. TDR
1층의 남은 DR 블럭을 맞춥니다. 350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5. ZBLL
윗층을 맞춥니다. ZB 해법의 ZBLL과 같으며 493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공식의 총합은 843개입니다.
Mehta-OS
Metha 해법의 모든 공식을 익혀놓은 뒤 상황에 따라 가장 적절한 해법을 선택합니다.
CFOP 해법과 비교한 Mehta 해법의 장점은
1. 시점변환이 없습니다.
시점변환은 상당히 많은 시간을 소모합니다. 시점변환이 없다는 건 분명한 장점입니다. 물론 공식 일부는 시점변환이 더 편할 수는 있습니다.
2. Roux 해법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전수가 적습니다.
45~50회전으로 회전수가 CFOP와 비교하면 매우 적습니다.
3. 공식 암기의 비중이 세 단계로 높아 TPS를 올리기 수월합니다.
새로 만들어지는 해법 중에서는 흔하지 않게 공식암기의 비중이 상당히 높습니다. 이는 솔빙 도중 생각을 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이 많다는 말이며 단순암기로 기록을 높일 수 있는 부분입니다.
4. 핑거트릭이 쉽습니다.
전체 솔빙의 40% 정도가 RUD젠이며 나머지의 17%도 RU젠이나 MU젠으로 맞출수 있습니다.
단점은
1. 일부 6CP 공식들이나 APDR 공식들은 R2가 많이 사용됩니다.
R2는 은근히 돌리기 어려운 회전입니다. R2가 많이 나오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피할 필요가 있습니다.
2. ABF는 +2나 DNF를 하기가 쉽습니다.
AUF를 두 번 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만큼 실수가 나올 확률도 높아지겠죠.
3. 공식의 수가 많은 편입니다.
CFOP의 전체 공식수를 일반적으로 119개로 잡는데 어떤 단계를 봐도 이보다는 공식 수가 많습니다.
예시솔빙입니다.
스크램블: F D R2 D2 F B L F' R2 B2 D R2 D' L2 B2 D' L2 D' L2 B2 F
Mehta-6CP:
y2 x // 미리보기
D U2 L2 B' // FB
E R Uw' R Uw' R' // 3QB
S' U S U' F R' F' R // EOLE
U2 R U2 R' U R U' R' U' R U' R' // 6CO
U' R2 D' R2 U R2 U' R2 U' D R2 U R2 // 6CP
M' U' M2 U' M2 U' M' U2 M2 // L5EP
Mehta-APDR:
y2 x // 미리보기
D U2 L2 B' // FB
E R Uw' R Uw' R' // 3QB
S' U S U' F R' F' R // EOLE
U2 R U2 R' U R U' R' U' R U' R' // 6CO
U2 R2 U2 R2 // APDR
U2 RU' R' U' R U R D R' U' R D' R' U2 R' // PLL
Mehta-CDRLL:
y2 x // 미리보기
D U2 L2 B' // FB
E R Uw' R Uw' R' // 3QB
S' U S U' F R' F' R // EOLE
U' R' U R' U2 R U R // DCAL
U R2 D R' U2 R D' R2 U' R U' R' // CDRLL
R' U' R U R U R U ' R' U' // L5EP
Mehta-JTLE:
y2 x // 미리보기
D U2 L2 B' // FB
E R Uw' R Uw' R' // 3QB
S' U S U' F R' F' R // EOLE
U' R' U R' U2 R U R // DCAL
R' U2 R2 U2 R U' R U' R' // JTLE
U R U R' U' D R2 U' R U' R' U R' U R2 E // PLL
Mehta-TDR:
y2 x // 미리보기
D U2 L2 B' // FB
E R Uw' R Uw' R' // 3QB
S' U S U' F R' F' R // EOLE
R U' R' U2 R U' R U R2 // TDR
U2 R U R' B' U R U R' U' B U' R U' R' U' // ZBLL
스피드솔빙위키에는 안 나오는 내용인데 상황판단이 딱히 쉽지는 않아보입니다. 핑거가 쉽다고 하는데 S회전이 들어가는 거 보면 회전이 딱히 쉬워보이지도 않고 말이죠. 하지만 새로 만들어지는 해법 중에는 가장 많은 주목을 받는 해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스피드큐브DB에 TDR과 APDR 공식도 올라오는 중이고요. 미래에 어떻게 될 지 모르겠네요.
큐브 맞추는 데 도움 되는 글 모음 (0) | 2025.05.16 |
---|---|
해법 소개-Tripod 해법이란? (0) | 2023.01.03 |
해법 소개-Heise 해법이란? (0) | 2023.01.03 |
해법 소개-ZB 해법이란? (0) | 2023.01.02 |
해법 소개-ZZ 해법이란?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