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C 해법은 한국 큐브 연구회의 김경호 선수가 Bernard Helmstetter가 만든 공식을 정리하여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는 LBL 기반 해법입니다.
CFEC 해법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Cross
Cross를 맞춥니다. CFOP 해법의 그것과 같습니다.
2. F2L
F2L을 합니다. CFOP 해법의 그것과 같습니다.
3. ELL(LLEF)
엣지 조각을 모두 맞춥니다. 15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4. CLL(L4E)
코너 조각을 모두 맞춥니다. 84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CFOP 해법과 비교한 CFEC 해법의 장점은
1. 왕초보 해법과 강력한 연계성을 지닙니다.
이 해법은 처음부터 국내 큐브계의 왕초보해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해법이기 때문에 윗면을 맞추기 전 엣지의 위치를 먼저 맞추는 해법을 사용하고 계시다면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2. ZB 해법과 연계성이 뛰어납니다.
CFOP의 경우 ZB 해법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식이 28개인 반면 CFEC는 무려 87개나 됩니다.
단점은
1. 공식이 너무 많습니다.
CLL의 공식 수만 봐도 84개로 OLL+PLL의 공식 수인 78개보다 많습니다.
2. 상황판단이 어렵습니다.
F2L 이후로는 한 번에 4조각의 오리엔테이션과 펴뮤테이션을 동시에 판단해야 하는 특성상 상황판단이 어렵습니다.
3. 핑거가 불편합니다.
해외에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 등 때문에 아직도 핑거가 상대적으로 불편합니다.
4. 다른 스킬과의 연계 효과가 부족합니다.
F2L 자체의 스킬은 당연히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외의 대부분의 스킬이 CFOP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CFEC에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습니다.
5. 연구가 부족합니다.
3,4번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단점입니다. 뭔가 추가적인 스킬도 많이 없고(LPELL 등이 있긴 합니다.) 핑거는 불편합니다. 연구가 있더라도 ZBLL연구가 우연히 CLL케이스와 겹치는 수준이라고 봐야 합니다.
6. 회전수에 이득이 없습니다.
CFEC 해법의 평균 회전수는 56.3회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FOP의 평균 회전수가 반올림을 하지 않은 기준으로 하면 55.8회전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오히려 회전수에서 CFOP보다 손해를 보게 됩니다.
7. 짝수큐브에 사용이 불편합니다.
바보토끼이빨 예외형은 엣지 조각의 위치를 변경시킵니다. 즉 바보토끼이빨을 사용하고 나면 마지막 단계인 PLL만 하면 되는 CFOP와 달리 ELL부터 다시 해야 합니다.
8. ZB 해법과 연계성은 의미가 없습니다.
ZB 해법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세계적으로도 손에 꼽아야 하며 굳이 ZB씩이나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예시솔빙을 보겠습니다. 공식이 이미 다 알려져 있기 때문에 즉석에서 솔루션을 짜보도록 하죠.
스크램블: F R' U2 B' U2 B' L2 F2 R2 F D2 L2 D' B' L' U R' D' R U2
z2//미리보기
R2 D L2 F D' L F'//Cross
L' F' U' F U L//F2L 1
U' B R U R' B'//F2L 2
U' B' U2 B2 U' B'//F2L 3
L2 U2 B L B' U2 L2//F2L 4
U R' U' F' U F R U'//ELL
U' R' F' R B' L' R' F R' F' L F R2 B U//CLL
실제 솔빙에서는 당연히 시점변환도 적절히 섞어가면서 할 겁니다.
스피드솔빙위키에 아예 문서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해법입니다. 분명 장점이 존재하긴 하지만 그 장점조차 일반적인 수준에서 아무런 의미도 없는데다 이론과 실전에서 크고작은 문제가 있는 해법입니다. 국산 해법이라는 의미 말고 큰 의미를 찾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만약 회전수를 줄이고 핑거를 편하게 할 수 있는 방식이 제대로 연구된다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만 과연 그렇게까지 하려고 할까요...
해법 소개-Petrus 해법이란? (0) | 2023.01.02 |
---|---|
해법 소개-Schultz 해법이란? (0) | 2023.01.02 |
아파트스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5.09 |
회전 수 세는 방법 (0) | 2022.05.07 |
디프오일 도포법 및 주의사항 (0) | 2022.03.01 |